로고

스님의 예수님 사랑

이 준 기자 | 기사입력 2024/03/17 [20:05]

스님의 예수님 사랑

이 준 기자 | 입력 : 2024/03/17 [20:05]

 

   스님의 예수님 사랑

우리는 사랑의 화신으로 살다간
'남수단의 슈바이처'라 불린 故
이태석 신부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 <울지마 톤즈>를 알고 있다. 그 영화에 이어 <復活>이란
이름으로 영화가 개봉되었다.

본문이미지


이 영화는 이태석 신부가 48세에
대장암으로 세상을 떠난지 10년 뒤,
어린 제자들이 성장하며 벌어진
기적을 조명한 영화다.

그런데 이 영화를 연출한 구환
감독은 기독교도 천주교 신자도
아닌 불교 신자였다.
그는 은퇴 자금을 털어 영화를 제작했다고 한다.
불교 신자임에도 불구하고
카톨릭 사제의 삶을 조명하는
영화를 연이어 제작한 것이다.

그는 시사 고발 PD 출신임에도
따뜻한 사랑을 담은 영화를 제작한
이유를 말했다.

“영화 <울지마  톤즈>에 이어서
영화 <復活>을 제작하게 된 계기가
특별하다.

“이태석 신부의 형, 이태영 신부가 지난 2019년에 59세의 나이로 선종 했다. 돌아가시기 전에 깡마른 모습으로 저를 불러 두 가지 유언을 남기셨다.

하나는 이태석 재단을 계속 이끌어가 달라, 다른 하나는 이태석 신부 선종 10주기에 동생의 삶을 정리해주면 좋겠다고.

이태석 신부의 삶을 어떻게 정리할까 고민하던 차에 이태석 신부가 남 수단에 작은 학교를 짓고 가르쳤던 어린 제자들이 생각났다.
남 수단에 찾아갔더니 의사이거나 의대생이 된 제자가 무려 57명에 달했다.

남수단의 작은 톤즈 마을에 신부님이 지은 허름한 학교에서 6년만에 국립대 의대생 57명이 나온 것이다.
그 작고 가난한 마을에서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후 공무원, 대통령실 경호원, 언론인까지 모두 70명의 제자들을 찾을 수 있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아이들이 먹고 살기 위해 의사가 된 것이 아니라 신부님 때문에 의사가 됐고, 신부님처럼 살아가겠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제자들이 병원에서 진료하는 모습을 보니 먼저 '어디가 아프세요?'라고 묻는 것이 아니라 환자 손부터 잡으며 가는 곳마다 손을 잡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눈 뒤 진료를 하기에, 그 이유를 물었다.

그랬더니 제자들이 '이태석 신부님이 해오던 진료 방법입니다'라고 해서
'아이들이 신부님의 삶을 그대로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기뻐서 영화를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어느 날은 이태석 신부 제자들이 한센인 마을에 가서 봉사 진료를 하는데
60명 정도 사는 마을인데, 환자 300명 정도가 모이고,
의사가 없으니 주변 마을에서 다 소식을 듣고 찾아왔다.

제자들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 종일 밥을 굶으며 진료를 하며
어느 환자는 12년만에 진료를 받았다고 한다.
환자에게 '의사가 당신 손을 잡았을 때 기분이 어땠습니까' 라고 물었더니 '이태석 신부님이 저희 곁에 돌아온 것 같습니다'라고  해서 가슴이 멍멍했다.

제자들은 '신부님이 우리 옆에 계신 것 같았습니다. 신부님 일을 우리가 대신해서 너무 기쁩니다' 라고 

단순히 제자들이 좋은 일을 했다는 게 아니라, 이태석 신부의 사랑의 표현이 제자들을 통해서 계속 이어가는구나 바로 이것이 復活의 의미였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원래 영화 제목은
<우리가 이태석입니다> 였는데,
그 자리에서 제목을  <復活>로 바꿨다.

제가 이태석 신부에게 빠져든 것은 단순히 그 분의 봉사 때문이 아니라,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다가간 방식' 때문이었으며, 그것을 우리 사회에 이야기하고 싶었다.
한센병 환자들은 고통 속에서도 신부님 이야기만 꺼내면 환하게 웃었다.

저는 이태석 신부를 존경스럽게 만들거나 그를 보고 감동받게 하려고 의도하지 않았다.
그가 살았던 삶은, 누구든 현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삶이라는 것을 얘기하고 싶었다.

저는 영화 <울지마 톤즈>에서는 이태석 신부의 삶을 통해
'어떻게 사는 것이 幸福한 삶인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하심(下心)의 리더십과 경청하고 공감하고 진심으로 대하는 태도,
공동체를 소중히 여기는 실천이
이태석 신부의 생애였다.

영화 <울지마 톤즈> 에서는 이런 삶에서 감동을 느낀다면 일상에서 실천해 보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아이들은 이태석 신부의 삶을 따랐고, 결국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0년 뒤 이태석 신부와 같은 삶을 사는 감격스러운 모습을 보게 되었다

우리가 이태석 신부가 됐을 때 사회는 굉장히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이 <復活>의 핵심이다.

저는 최고로 행복한 저널리스트라고 생각하며
그 분이 없었다면 어떻게 살고 있었을까?
하고 싶은 건 많은데 삶은 뜻대로 안 되고, 불만 투성이었을 텐데~
그 분을 통해 이야기하며 즐겁고, 하는 일에 굉장히 보람을 느끼고 있다."

"어떻게 해서 이태석 신부에 관한 휴먼 영화, 종교 영화를 제작하게 되셨는지?”

“사람들은 이 영화 <復活>이 종교 영화라고 부르지만 이건 굉장히 강한 고발 영화이고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고발은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수많은 고발 프로그램을 제작해도 누군가를 변화 시키는 건 어려웠는데, 이 영화를 통해 많은 분들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았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 사회에 하나의 기준을 제시했다고 생각한다.
성직자의 성폭력 문제, 권력 분쟁,
세습 이슈가 나올 때마다 '이태석 신부처럼 살아야 하지 않겠느냐' 라는 글들이 나왔다.
이태석 신부가 성직자에 대한 하나의 기준이 됐다고 생각했다.

일부 의료진들과 교사들, 정치인들에 관한 사회적 문제가 터져 나올 때에도 의사로서, 교육자로서, 지도자로서의 바람직한 상으로 귀감이 되고,
개인적으로는 영화 흥행보다도 이런 부분에서 큰 보람을 느꼈다.”

“감독님은 불교 신자라고 들었다. 카톨릭 사제인 이태석 신부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계속 제작하는 이유가 있으신지?”

“종교의 역할이 무엇일까요?
절망하는 사람들에게 희망(希望)을 줘야 하는데, 이태석 신부는 그 삶 그대로였다.
법복 입은 스님이든, 예복 입은 목사든, 사제복을 입은 신부든 종교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고 사람들이 의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신부님의 삶을 보며 그것을 느꼈다.

어느 날 정진석 추기경이 감사패를 주신다고 해서 방문을 한 적이 있었다.
대화 중에 제가 '저는 톤즈 마을에서 예수를 보았습니다' 라고 말했다.

이상하잖아요?
불교 신자가 예수님을 보고 왔다니까?

'당신이 본 예수는 어떤 분이었습니까?'라고 물으시기에 '제가 본 예수님은 대단한 분은 아니었습니다.
그 분은 제 마음에 있는 분이었다.

톤즈 성당은 여기처럼 으리으리하지 않다.
허름한 성당에 벽은 포를 맞아서 구멍이 뚫렸는데, 사람들이 성당만 들어오면 얼굴이 밝아지는 걸 봤다.
그게 바로 예수의 힘이라 생각했다'라고 대답했다. "

한 신부의 고결한 삶이 세상을 바꾸어 가고 있다.
사람들이 톤즈를 통해 이태석 신부의 예수적 삶과 같은 모습을 보며 감동과 감명을 받는다.
그분이 한국인이라는 것이 너무나 자랑스럽다.

병마로 너무 일찍 세상을 떠나 안타깝지만 예수님의 사랑을 실천해 기적을 만들어낸 이태석 신부를 추모한다.

쌀쌀한 겨울아침,
이태석 신부의 희생적 삶을 생각하며 뜻깊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대한노인회 고양시 덕양구지회 풍성한 밥상 나누기 행사 개최
이전
1/10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