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 개최

이국영 기자 | 기사입력 2025/06/10 [12:09]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 개최

이국영 기자 | 입력 : 2025/06/10 [12:09]

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 개최

 

- 610(), 다시, 민주주의주제로 서울 용산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개최

- 옛 남영동 대공분실, 인권 탄압의 상징에서 민주주의 상징 공간으로 재탄생

 
본문이미지

 

1987년 전국에서 일어난 610민주항쟁을 기념하는 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610() 오전 10, 서울 용산구 소재 민주화운동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개최됐다.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이번 기념식은 다시, 민주주의를 주제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민주화운동 관계자, 유가족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민주화운동의 역사와 가치를 되새겼다.

 

특히, 이번 기념식은 옛 남영동 대공분실을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조성하는 사업이 완료되어 이를 기념하는 개관식도 같이 진행됐다.

 

옛 남영동 대공분실은 고()김근태 고문사건(’85),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87) 등 민주인사에 대한 강압적인 조사와 인권 탄압이 자행되었던 장소다.

 

기념관은 지난 2018년 건립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7년간의 노력으로 과거 인권 탄압의 상징적 공간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이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기록하고 교육하는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새롭게 거듭났다.

 

민주화운동기념관은 228민주운동(’60), 38민주의거(’60), 315의거(’60), 419혁명(’60), 63한일회담 반대운동(’64), 3선 개헌 반대운동(’69), 유신헌법 반대운동(’73), 부마민주항쟁(’79), 518민주화운동(’80), 인천53민주항쟁(’86), 610민주항쟁(’87)까지 이어진 주요 민주화운동의 위대한 여정과 시민의 헌신을 기록하고 전시해 민주주의의 소중함과 가치를 나누는 교육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념식은 식전 대동놀이 공연을 시작으로 개막영상 상영, 국민의례, 경과보고, 제막식, 기념사, 기념공연, 그리고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기념관 개관 제막식에서 민주화운동기념관의 명판을 공개하고, 개막 세리머니를 하였다.

 

 

기념공연에서는 노래패 노래를 찾는 사람들과 대학생 연합합창단이 과거와 현재의 광장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로 타는 목마름으로’, ‘다시 만난 세계를 노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참가자가 그날이 오면을 함께 부르며 기념식과 개관식을 마무리했다.

 
본문이미지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경기도시각장애인복지관, 시각장애인 어르신들께 ‘시원한 여름’ 선물 전달
이전
1/10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