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고령화로 인한 질병부담 지속 증가, 3년간 만성질환 진료비 연 8.4% 증가세

이국영 기자 | 기사입력 2024/12/28 [09:05]

고령화로 인한 질병부담 지속 증가, 3년간 만성질환 진료비 연 8.4% 증가세

이국영 기자 | 입력 : 2024/12/28 [09:05]

고령화로 인한 질병부담 지속 증가, 3년간 만성질환 진료비 연 8.4% 증가세

 

질병관리청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발간

- ’23년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7.5만 명(전체 사망의 78.1%),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90조원(전체 진료비의 84.5%)

-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 꾸준히 증가, 성인비만율은 ‘20년 이후 증가된 수준 유지하나 유산소 신체활동은 53.1%로 전년대비 큰 폭(5.2%p)으로 증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내 주요 만성질환 현황과 건강위험요인 분석하여, 만성질환 관련 정책 및 보건사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매년 발간해왔다.

 

이번에 발간하는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는 국내외 관계 기관에서 발간된 주요 만성질환* 통계를 기반으로국내 만성질환의 주요 이슈와 관련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담이 높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암’을 주요 만성질환으로 지정하여국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함

 

<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개요 >

▸ (목적) 국내 주요 만성질환 현황과 건강위험요인을 분석 관련 정책 및 보건사업 개발 기초자료 제공

▸ (주요내용) 수명 및 사망원인, 주요 만성질환* 유병 및 관리수준, 건강위험요인** 등 국내 만성질환 현황

 *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암, 치매

 ** 흡연음주신체활동영양

 

▸ (자료원) 국민건강통계, 사망원인통계, 건강보험통계, 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OECD statistics) 등 국내외 통계자료 활용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23년 기준으로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75,183*으로 전체 사망의 78.1%를 차지하였다.

  * (’20년) 244,719명 → (’21년) 252,993명 → (’22년) 276,930명 → (’23년) 275,183명

 

 23 10대 사망원인* 중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악성신생물(), 심장 질환뇌혈관 질환알츠하이머병당뇨병고혈압성 질환으로 대부분 22년 대비 순위가 증가하였다.

  * 23년 10대 사망원인 순위: 암, 심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고의적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 코로나19 순

 

본문이미지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3년 기준우리나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90조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84.5%를 차지하였다.

  * (20) 71조 원 → (21) 78조 원(9.24%) → (22) 83조 원(6.80%) → (23) 90조 원(9.19%)

 

진료비 중 순환계통 질환으로 인한 비용이 13조 4천억 원으로 만성질환별 진료비 전체의 14.9%를 차지하였고, 근골격계질환이 12.9%, 악성신생물(암)이 11.2%로 진료비 비율이 높았다. 만성질환 중 단일 질환으로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에 의한 진료비가 4.4조 원으로 가장 높았고, 2형 당뇨병이 3.1조 원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변화를 살펴보면, 19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20~22%, 당뇨병 유병률은 10% 내외를 유지하며 정체 중이다.

 

  반면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12년 11.9%에서 ‘22년 22.0%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유행기간에 증가한 성인 비만율이 ’22년 37.2%로 유지되고 있다.

 

고혈압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는 분율, 19세 이상21년 진동형혈압계로 변경되어 추이 비교시 주의 필요

당뇨병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거나,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분율, 19세 이상22년 임상검사 분석기관 변경으로 추이 비교시 유의

고콜레스테롤혈증: 8시간이상 공복자 중 혈중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강하제를 복용하는 분율, 19세 이상

비만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분율, 19세 이상

*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건강위험요인 중 흡연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음주신체활동은 정체 상황이다22년의 성인 현재 흡연율은 17.7%로 전년 대비 1.6%p 감소하였으며성인 고위험 음주율은 14.2%로 지난 10년간 12~14%를 유지하고 있다한편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53.1%로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현재흡연율: 평생 일반담배(궐련) 5갑(100개비) 이상 피웠고 현재 일반담배(궐련)를 피우는 분율, ’19년부터 일반담배(궐련)로 문항 변경, 19세 이상

* 고위험음주율: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 이상(여자 5잔)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19세 이상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고강도 1분은 중강도 2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실천한 분율, 19세 이상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질병부담이 증가 추세로,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매년 발간하는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통해 국내 만성질환 현황을 공유하고효과적인 예방관리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하여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 부담 경감을 위한 전략 개발에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누구나 열람 및 내려받기가 가능하며, 유관기관, 관련학회, 지자체 등에 제공하여 적극 활용하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www.kdca.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홍보지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압구정노인복지관, 설날 기념행사 ‘설레는 그 날’ 성료
이전
1/10
다음